1. DDNS (Dynamic DNS)
DDNS는 외부에서 NAS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소 서비스로,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NAS에 접속하려면 공인 IP 주소가 필요한데, 대부분의 가정/학교에서는 이 IP가 자주 바뀐다. 때문에 고정된 도메인 주소를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게 필요한데, 그걸 해주는 게 바로 DDNS다. IP는 계속 바뀌지만, 주소는 고정돼 있어서 언제든 "DDNS주소.ipdisk.co.kr" 이런 걸로 NAS에 접속할 수 있다.
- 외부에서 접속할 때 ipdisk.co.kr, no-ip.com 같은 주소 사용
- ipTIME 공유기는 자체 DDNS 서비스(ipdisk.co.kr)를 제공함
2. SMB (Server Message Block)
SMB는 Windows에서 폴더나 파일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NAS에서 폴더를 공유하거나 Windows 탐색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접근할 때 주로 사용된다. NAS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에서 D드라이브처럼 열 수 있게 해주는 기술 정로 생각하면 쉬울거 같다.
- NAS에 smb://192.168.0.250로 접근
- Finder나 탐색기에서 NAS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마운트할 때 사용
- Windows 환경에서 가장 호환성이 좋음
2-1. 윈도우 파일 공유 (Windows File Sharing)
SMB 기반의 기능으로, Windows 네트워크 환경에서 파일/폴더를 공유하는 기능 전체를 의미한다. 윈도우 파일 공유를 이용하면 NAS나 다른 컴퓨터의 폴더를 내 PC처럼 탐색기에서 열 수 있다.
- \\192.168.0.250 또는 \\DDNS주소.ipdisk.co.kr로 NAS 접근
- 공유 폴더 설정 → 사용자별 권한 부여 가능
- 회사, 학교 등에서 파일 서버로 활용
3. AFP (Apple Filing Protocol, 구형)
AFP는 Mac 전용의 파일 공유 프로토콜로, SMB보다 예전부터 Mac과 호환성이 뛰어나서 Mac 사용자들은 예전에는 AFP를 더 많이 사용했다. 지금은 Mac도 SMB를 완벽히 지원해서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일부 앱이나 시스템에서 여전히 지원한다. 지금은 SMB가 대세지만 예전엔 AFP가 필수였다고...
- afp://192.168.0.250 형식으로 Mac에서 접근 가능
- Mac Finder에서 NAS 공유 폴더 열 때 사용 가능
- 최근에는 SMB가 AFP를 대체하는 추세
4.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NAS 같은 기기에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공유기가 요청을 NAS로 전달해줘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게 포트포워딩이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특정 포트를 NAS의 포트로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공유기가 받는 문을 열어서 NAS로 들어가게 만들어주는 설정 정도로 보면 쉬울거 같다.
- 외부에서 SMB(445), WebDAV(5005/5006), FTP(21), VPN(1701) 등을 사용할 때 필수
- 예: 외부에서 DDNS주소.ipdisk.co.kr:5005 → 내부 NAS 192.168.0.250:5005로 전달
- 포트가 열려 있지 않으면 외부에서 NAS 접속이 불가능
5. WebDAV
WebDAV는 HTTP를 기반으로 한 파일 공유 방식이다. 웹브라우저처럼 쉽게 접근할 수 있고, Mac의 Finder에서도 서버 연결(http://...)로 마운트 가능하다. 보통 보안 연결을 위해 HTTPS로 많이 쓴다. 쉽게 말하면 인터넷 주소창처럼 접근해서 NAS 파일을 볼 수 있는 방식이다.
- http://DDNS주소.ipdisk.co.kr:5005/dav로 Finder에서 접근
- Windows에서 탐색기 주소창에 \\주소@포트 형식으로 연결
- FTP보다 보안성 좋고 SMB보다 호환성 다양
- 일부 앱에서 WebDAV를 통해 NAS 백업/연결 가능
6. FTP (File Transfer Protocol)
FTP는 가장 오래된 파일 전송 프로토콜 중 하나로,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하는 데 특화되어 있고, 명령줄이나 전용 앱(FileZilla 등)에서 많이 사용한다. NAS에 파일을 주고받는 가장 원초적인 방식이고, 보안이 강화된 SFTP(SSH FTP)도 있다.
- ftp://DDNS주소.ipdisk.co.kr 또는 ftp://192.168.0.250로 접속
- FTP 클라이언트로 대용량 업로드/다운로드
- 보안이 약한 편이므로 외부 사용 시 SFTP 권장
- ipTIME NAS는 FTP 서버 활성화 옵션 있음
7. VPN (Virtual Private Network)
VPN은 외부에서 NAS가 있는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하게 해주는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이다. VPN을 사용하면 외부에서도 NAS가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것처럼 SMB, AFP, WebDAV 등 모든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외부에서도 로컬 네트워크처럼 연결해주는 보안 터널 정도로 생각해주면 될거 같다.
- L2TP, PPTP, OpenVPN 등의 방식으로 공유기에서 VPN 서버 설정
- Mac/Windows에서 VPN 연결 후 192.168.x.x 내부 IP로 NAS 접근 가능
- Finder에서 SMB, AFP 등으로 안정적인 연결 가능
- WebDAV 권한 문제, 포트 차단 문제 없이 NAS를 로컬처럼 사용 가능
8. 전체 요약
용어 | 한줄요약 |
DDNS | NAS에 도메인 주소를 붙여주는 서비스 (ipdisk.co.kr) |
SMB | 윈도우 탐색기에서 NAS 폴더 여는 방식 |
윈도우파일공유 | SMB 기반의 네트워크 폴더 공유 기능 |
AFP | Mac 전용 네트워크 파일 공유 방식 (지금은 거의 안 씀) |
포트포워딩 | 외부에서 NAS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주는 설정 |
WebDAV | 인터넷 주소처럼 NAS 파일 접근하는 방식 |
FTP | 오래된 파일 전송 방식, 명령어 기반 |
VPN | NAS가 있는 집에 원격으로 들어가는 비밀 통로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말정산] 24년 10월 ~ 25년 3월 한번에 달리기 (0) | 2025.04.02 |
---|---|
우당탕탕 NAS 구축기 2 (0) | 2025.03.31 |
우당탕탕 NAS 구축기 1 (0) | 2025.03.27 |
국가안보대학생 위원회 발대식 후기 (1) | 2025.03.27 |
[마라톤] YMCA 하프 신청ㅋㅋ (3) | 2024.10.09 |